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금리, 신청 기간 (2025년)
이 글에서 알려드리는 청년도약계좌 정보는 2025년 4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해당 사업은 2026년이 되기 전까지 동일한 내용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지만, 향후 조건 등 사업 관련 내용에 변동이 생길 수 있으니 최신 정보와 소식이 궁금하신 분들은 청년도약계좌 공식 홈페이지(바로가기) 공문을 참고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2025년 청년도약계좌 안내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장기 저축, 재무 계획,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정부 지원 적금입니다.
월 최대 70만 원 한도 5년 만기 자유 적립으로 꾸준히 납입하면 매월 최대 3.3만 원의 정부기여금, 은행 기본 금리, 비과세 혜택으로 만기 시 5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매월 저축 금액을 자유롭게 정하고 정부 지원금까지 추가로 받을 수 있으니 조건에 해당되는 청년이라면 신청하지 않을 이유가 없는데요.
지금부터 청년도약계좌 조건과 혜택, 신청 방법과 납입 방식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가입 조건
✅나이 : 만 19세~34세
✅개인소득 : 직전 과세기간 총 급여액 7,500만 원 이하 및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청년도약계좌 사업은 가입일 기준 만 19세부터 34세 이하의 청년을 대상으로 하며,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이 있다면 빼고 계산하시면 됩니다.
나이 외 체크하는 조건은 개인소득과 가구소득이며, 소득 금액은 현재(2025년)가 아닌 전년도(2024년) 또는 전전 연도(2023년) 기준으로 측정합니다.
개인소득은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액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일 경우 해당됩니다. 육아휴직급여나 군 장병급여 외 비과세 소득만 있을 경우는 제외됩니다.
가구소득은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의 250% 이하여야 하며, 가구원은 본인과 본인 주민등록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 및 자매(미성년자일 경우) 기준으로만 판단합니다.
신청 방법 (+기간)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초부터 약 2주 동안 가입 신청이 가능합니다.
만약 신청 기간을 놓쳤다면 다음달 초까지 기다려야 하는데요.
기간 내 신청하더라도 심사 기간까지 약 2주 정도 소요될 수 있으니 월 초 신청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합시다.
청년도약계좌는 취급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만 신청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취급은행은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KB국민은행, iM뱅크(구 대구은행), BNK부산은행, BNK경남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까지 총 11곳이 있습니다.
계좌 개설을 원하는 은행 앱에서 '청년도약계좌'를 검색하고 화면에 보이는 안내에 따라 가입 신청 절차를 진행하시면 며칠 내로 계좌 개설 가능 여부에 대한 안내 문자(카톡)를 받게 됩니다.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계좌 개설이 가능하다는 알림을 보내면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을 진행했던 은행 앱에 들어가 계좌 개설 단계를 시행하시면 됩니다.
- 매월 초부터 약 2주간 가입 신청 기간
- 월 초에 은행 앱에서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하기
-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보내는 확인 결과 기다리기
- 가입 가능 안내를 받으면 은행 앱에서 계좌 개설하기
청년도약계좌 신청 시 필요한 준비물은 신분증 또는 운전면허증입니다.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서류가 없으니 신청 과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그러니 청년도약계좌 개설을 계획하고 계신 분들은 미루지 마시고 월 초에 바로 은행 앱에서 가입 신청부터 진행하시기를 바랍니다.
은행별 금리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일부터 3년동안 고정 금리로 운영되며, 이후 2년은 변동금리를 적용합니다.
같은 청년도약계좌 상품이라도 은행마다 기본 금리 및 우대 금리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더 높은 금리를 적용할 수 있는 은행을 찾는 것도 중요합니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사이트에서는 금융 상품마다 은행별 혜택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11개의 은행 전체를 선택해서 특징을 비교한 표인데요.
고민되는 은행 몇 곳만 체크하시면 더욱 깔끔하게 정보를 비교해 보실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은행별 우대금리 세부항목 비교표까지 확인 가능하니 청년도약계좌 신청 전에 꼭 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QnA
청년도약계좌 자주 묻는 질문
Q. 무조건 매월 70만 원씩 납입해야 하나요?
A. 청년도약계좌는 최대 납입 한도가 70만 원인 것이지 무조건 70만 원씩 납입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매월 1천 원부터 70만 원까지 원하는 금액을 입금할 수 있습니다.
Q. 매월 다른 금액을 저축해도 되나요?
A. 네, 청년도약계좌는 자유적립식 상품이기 때문에 매월 다른 금액을 납입해도 되며, 경제 사정이 어렵다면 납부하지 않고 넘어가는 달이 있어도 됩니다. 단, 정부기여금은 조건에 충족한 납입금에 대해서만 적용됩니다.
Q. 무직자도 신청할 수 있나요?
A. 청년도약계좌는 근로 또는 사업 소득이 있어야만 가입 가능하기에 소득이 없다면 신청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Q. 청년도약계좌 저축 중 중도 인출이 가능한가요?
A. 이전에는 만기 전 부분 인출이 어려웠지만 2025년부터는 청년도약계좌를 2년 이상 유지한 경우 납입한 원금의 40% 이내에서 부분 인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습니다.
Q. 인터넷에서 답을 찾기 어려운 문의 사항이 있다면?
A.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서류, 정부 지원 관련 문의는 국번 없이 ☎1397(서민금융콜센터) / 자동이체, 고객 정보 변경, 계좌 해지 관련 문의는 해당 은행 콜센터로 전화하시기를 바랍니다.
은행 | 콜센터 번호 |
기업은행 | 1588-2588 |
농협은행 | 1661-3000 |
우리은행 | 1588-5000 |
신한은행 | 1577-8000 |
국민은행 | 1588-9999 |
하나은행 | 1588-1111 |
부산은행 | 1588-6200 |
경남은행 | 1600-8585 |
광주은행 | 1600-4000 |
전북은행 | 1588-4477 |
iM뱅크(구 대구은행) | 1566-5050 |
마치며
매월 70만 원씩 저축한다는 것은 부담스럽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청년도약계좌는 자유적립식으로 계좌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신청해두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을 때 저축 금액을 많이 넣고, 여유가 없을 때는 적게 넣으며 부담 없이 정부기여금을 노려볼만한 상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만 34세 미만의 소득이 있는 청년이라면 조금씩이라도 돈을 모으면서 정부 지원금까지 추가로 챙길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 꼭 신청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입 후기 계좌 개설 납입 방법 (ft. 우리은행)
최근 5천만 원의 목돈을 모을 수 있다는 청년도약계좌를 알게 되어 신청해 보았습니다.오늘은 우리은행 앱을 통해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계좌 개설, 자동이체 납입한 과정까지 공유해 드리겠
kkamiiii.com
'지원금 및 복지 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청년 함께 두배적금 신청 방법 (+조건, 서류, 기간) (1) | 2025.03.06 |
---|---|
sh 장기안심주택 신청 방법(+서류) (0) | 2023.12.20 |
6+6 부모육아휴직 급여 신청방법 (0) | 2023.12.19 |
태풍, 폭우 피해 재난 지원금 신청 방법 (0) | 2023.08.10 |
댓글